728x90
요약
1.git stash
변경사항을 commit하지 않고 잠시 저장해두려할 때
2.git stash list
저장된 리스트를 보고싶을 때
3.git stash apply
가장 최근에 저장된 stash를 다시 불러 올 때
4.git stash drop
가장 최근에 저장된 stash를 그냥 폐기할 때
pull을 할려고 하는데 아직 뭔가 남아있다고 한다.
커밋을 할 생각은 없고 그냥 pull을 받고싶지만 아직 커밋을 할게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.
이 경우 우리는 stash를 사용할 수 있다.
git stash
이는 현재 변경사항을 keep해두는 것이다.
변경사항을 keep했다는 말은 다르게 말해서 변경사항이 다시 없어졌다는 것이다.
그러나 완전히 없어진건 아니고 keep해놓은 상태가 됬다는것
지금 가장 최근의 작업을 keep해 놓았다.
이 상태로 계속 keep하는게 가능한데 리스트들을 보고싶다면 아래 같이 사용하면 된다.
git stash list
그 다음 위 목록으로 저장된 사항을 볼 수 있다.
현재 1개가 저장되어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.
git stash apply
git stash apply <stash 명>
git stash apply를 사용하면 가장 최근에 저장된 stash를 불러온다.
즉 다시 변동이 시작된다. 그런데 여러개가 있을 때 여러분이 선택하고싶다면 stash명을 선택해주어야한다.
이 때 stash 명은 위 그림의 stash@{0}같은게 stash이름이다.
git stash drop
git stash drop <stash 명>
물론 stash를 적용안하고 버리는것 역시 가능하다.
명령어는 위와 같다. 물론 사용방법 역시 동일하다.
'Usage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p]Git 사용시 특정 파일을 트래킹을 하기 싫을 경우 (0) | 2019.04.13 |
---|---|
[Tip]Git 터미널에서 push할 때 패스워드 묻지 않게 하기 (0) | 2018.03.30 |